본문 바로가기
일상정보

중도 퇴사자는 꼭 봐야 할 종합소득세 신고 꿀팁!

by 유니이야기 2025. 4. 6.
반응형

 

“퇴사했는데도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?”
“직장은 관뒀는데, 국세청에서 문자가 왔어요…”

중도에 퇴사한 직장인이라면 이런 걱정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.

 

종합소득세 신고 시즌(5월)은 퇴사자에게도 중요한 시기입니다. 사실, 중도 퇴사자는 잘만 하면 세금을 돌려받을 수도 있습니다! 오늘은 퇴사하신 분들이 꼭 알아야 할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 확인법, 신고 방법, 환급 팁을 쉽고 빠르게 정리해드릴게요.

 

 

 

중도퇴사자도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하나요?

 

✔ YES, 다음에 해당된다면 신고 대상입니다.

  1. 연말정산을 안 하고 퇴사한 경우
    • 연말정산 없이 급여만 받은 상태라면 → 5월에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해야 합니다.
  2. 퇴사 후 다른 소득이 있었던 경우
    • 알바, 프리랜서 수입, 임대 소득 등이 있다면 → 퇴직 여부와 관계없이 신고 대상

 

✔ NO, 다음에 해당되면 신고 안 해도 됩니다.

  • 회사에서 정상적으로 연말정산까지 마쳤고,
  • 다른 추가 소득이 없다면, →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해도 됩니다.

 

국세청 원클릭서비스, 안 쓰면 세금 더 냅니다!

 

 

중도퇴사자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

 

① 홈택스 접속 후 로그인

  • www.hometax.go.kr
  • 원클릭 간편인증으로 로그인 가능

② 신고 메뉴 이동

  • [종합소득세 신고] → [근로소득자 신고서 작성]

③ 퇴사한 회사 소득 정보 입력

  • 퇴사한 회사에서 받은 ‘원천징수영수증’ 필요
  • 직접 입력 or 파일 업로드

④ 공제 항목 입력

  • 기부금, 보험료, 의료비, 신용카드 사용액 등
  • 연말정산처럼 직접 입력하면 됨

⑤ 제출 및 환급계좌 입력

  • 미리보기 → 제출 → 환급 예정 금액 확인 가능!
  • 환급 계좌 등록 꼭 해주세요 (홈택스 or 원클립 앱에서 가능)

 

국세청 원클릭 종합소득세 신고

 

 

환급 받을 수 있는 상황은?

 

중도 퇴사자는 연 소득이 줄어들기 때문에, 이미 낸 세금이 많으면 환급 받을 수 있습니다.

상황 환급 가능성
연말정산을 못했을 때 공제 항목 추가 입력으로 환급 가능 ↑
소득이 줄어든 해 과세표준 하락으로 환급 가능성 ↑
퇴직 후 프리랜서 활동 경비처리로 절세 및 환급 가능

 

환급금은 6~8월 사이 입금되며, 국세청 원클릭으로 미리 알림 받을 수 있어요!

 

 

국세청 원클릭 환급신고

 

 

중도퇴사자 절세 팁

  • 기부금, 보험료, 의료비, 교육비 등 꼭 입력!
  • 연말정산처럼 카드 사용액도 공제 가능
  • 종합소득세 신고는 5월 한 달 동안만 가능
  • 원클릭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하면 훨씬 쉬워요

 

이 7가지만 알아도 세금 수십만 원 아낀다!

 

 

자주 묻는 질문

Q. 퇴사 후 아무 소득도 없었는데도 신고해야 하나요?

연말정산을 회사에서 안 해줬다면, 신고해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!

 

Q. 환급받을 계좌는 어디에 입력하나요?

→ 홈택스 마이페이지 → [환급계좌관리] 또는 원클립 앱에서 등록

 

Q. 세무사 도움 없이 할 수 있나요?

→ 홈택스/손택스 앱으로 충분히 가능합니다. 화면도 친절하고, 자동 계산 기능 있어요!

 

 

손택스 vs 홈택스, 세금 환급은 어디서 하는 게 더 편할까?

 

 

마무리

중도 퇴사하고 ‘세금은 끝났다’ 생각하셨다면, 큰 오산입니다! 환급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시고, 올해 5월에는 꼭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확인해보세요.

 

단 20분 투자로 몇만 원~수십만 원 환급도 가능하답니다. 😊